검색결과 리스트
글
인터넷 방송 교육 , 우리도 마을 미디어
카테고리 없음
2012. 9. 17. 12:19
일시 2012. 9. 17
장소 부천문화재단 6층 미디어센터 교육실
내용
- 지역 주민 모두 미디어 생산자
- 캠코더 고정시키는 장비의 중요성
- 갤럭시와 아이폰의 주변 기기 차이
- 실시간 라이브일 경우 작은 영상도 중요
- 편성 부터 하는 것은 잘못
- 현장이 준비되고 바로 방송을 하는 것에서 시작
- 사진을 찍어서 올리는 습관을 만들어야 함
- 트위터에 하루 3장씩 사진을 올리기 습관
- 미디어 방송 서비스 사이트가 라이브로 바뀌고 있는 중
- 유투브, 다음TV팟, 곰TV, 판도라, 유스트림코리아,
- 유스트림 코리아 계정을 선점하는 것 중요
- 글을 잘 읽어줘야 함. 시청자와 공감하는 방송을 해야 성공할 수 있음
- 프로슈머란
- 이 방송은 시민 여러분이 직접 제작하신 방송으로 서울시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
- 유투브 라이브는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다.
- 서울 누리, 방송 아카데미 설명.
- 라이브. 30분에서 1시간 30분 기본.
- 유스트림 10기가, 개인에게 줌. 한 시간에 200메가 정도.
- 유스트림 자리 잡으려면 3년 정도 걸릴 것임.
- 라이브 앤유. sk 에서 만든 방송. 사라짐.
- 청취자가 많아야 함. 아프리카는 게임 사이트였음.
- 유스트림은 머무르지 않음.
- 미디어 프로슈머에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.
- 유스트림은 전문 방송국.